문체부, ‘국가유물정보서비스 선진화’ 추진계획 발표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약 80억 원의 예산을 투입[드림저널 = 김영호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전국의 국공립 대학 및 사립 대학 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국가유물정보에 대한 종합적인 대국민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국가유물정보서비스 선진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정부 3.0’ 정보공개 확대 정책에 맞게 국가유물 관리 체계의 선진화를 통하여 소장 유물정보의 적극적인 공개와 보유기관 간 협업 체계 마련, 기관별 서비스 제공 등으로 대국민 접근성을 제고하고 유물정보가 상이해서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재 3.5% 수준인 국립박물관의 대국민 유물정보 공개율을 2017년까지 92.8% 수준으로 향상시킬 예정이다. 이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고고, 회화, 자기중심의 유물정보 관리체계에서 벗어나 민속사, 자연사 등을 망라하는 표준유물 관리체계를 확립할 예정이다. 또 위원회를 통해 제정된 표준안을 기초로 개별 박물관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표준유물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유물 정보의 고품질화를 통해 단순히 유물을 관람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유물 정보를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지난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고품질 디지털 유물정보를 온라인으로 무상으로 공개한 후 (무엇이) 월평균 이용건수의 3배인 1,625건이 다운로드됐다. 이와 같이 산업적 활용 및 민간에서 활용률이 높은 유물정보를 중심으로 순차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병행하여 국가문화유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가이드를 제정, 개별 박물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약 8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국가유물의 대국민 서비스 선진화 기반을 마련하고, 우수한 한국의 유물정보의 개방 확대와 문화정보자원의 산업적 활용을 통한 창조경제 추진의 중요한 밑거름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드림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