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경주시, 지역관광업계 관광산업 정상화 대책...실효성 의문 지적

시, 중앙․도 주요행사 경주개최 건의, ‘안전 경주’ 홍보...“당장 실현 어려워”

김영호 기자 | 기사입력 2016/09/28 [15:31]

경주시, 지역관광업계 관광산업 정상화 대책...실효성 의문 지적

시, 중앙․도 주요행사 경주개최 건의, ‘안전 경주’ 홍보...“당장 실현 어려워”

김영호 기자 | 입력 : 2016/09/28 [15:31]
▲     © 드림저널


[경주/드림저널 = 김영호 기자] 경주시는 9.12 지진으로 이상욱 경주부시장 주재, 28일 대회의실에서 지역 관광업계 및 시 관련부서장들 간의 관광산업 정상화를 위한 대책회의를 가졌지만, 업계의 현실적 부분과는 동떨어진 부분이 많다는 지적이다.


경북관광공사, 경북관광협회, 숙박협회, 민박협회, 한국음식업중앙회․대한숙박업중앙회․한국휴게음식잠중앙회경주시지부, 버스업계, 개인․법인택시업계 대표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대책회의는 9.12 지진으로 인한 단체관광객 격감, 수학여행단 취소 등 관광경기 침체 장기화 예상 등 지역 관광산업의 활성화 및 지원방안 모색하고 안전한 경주관광 이미지 제고를 위해 마련됐다.


앞서 27일 시의원 전체감담회에서 도병우 국장이 이미지 쇄신을 위한 준비가 마련돼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별다른 관계가 없을 것이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또 경주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관광객들 경주를 다시 찾고 있다”며 안전한 경주를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실무자들의 말은 경주시 대책을 신뢰하지 못했다. 재난지역이란 광고효과로 관광객들이 정주하지 않고 거치가는 경주가 돼 버렸다고 지적했다.


펜션업 관계자도 “80%이상이 예약 취소되면서 쇼셜커머스 업체와 갈등을 빚는 등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시의 지원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역에는 특급호텔 등 호텔 14개소, 콘도미니엄 8개소, 유스호스텔․일반숙박업․펜션 등 905개소, 식당 5,112개소가 영업중이며, 종합유원시설 2개소, 일반유원시설 4개소, 관광식당 4개소, 종합휴양업 1개소, 전문휴양업 3개소와 여행사가 100여개소가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지진으로 인해 최근 관광호텔 투숙율이 24%, 휴양콘도미니엄이 35%선이며, 특히 가을 수학여행철을 맞아 전국의 학교에서 예약 취소율이 높아지는 등 아직도 관광과 경제가 되살아나는데 힘이 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호텔 등 지역 업계에서는 언론의 과잉보도 자제 협조, 정부행사 및 공기업 행사 경주개최, 관광도시 경주 안전성 등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는 발 빠른 대응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관광객 유치 등을 위해 오는 10월 한 달간 동궁과 월지, 대릉원은 입장료가 무료이며 동궁식물원은 50% 할인, 그 외 민간위탁 사적지와 버드파크, 양동마을, 불국사, 석굴암 등은 현재 시와 협의 중에 있다.


또 숙박시설, 음식점 등에서도 할인계획에 있으며, 보문단지 내 식당을 제외한 입주업체 중 호텔 및 숙박업소의 객실료 및 부대시설과, 주요 관광지 및 놀이시설 입장료는 10~50% 할인한다. 외부 관광객 위해 도로공사와 코레일과 협의하여 고속도로 통행료 및 KTX 승차권 할인검토와 시민단체 주관 범시민 친절운동도 전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국의 각 행정기관, 교육청, 주요 여행업체에 경주관광 정상화 협조 서한문을 발송하고 문광부에 가을 여행주간(10.24~11.6) 집중홍보 협조, 정부기관 및 도 단위 행사 경주지역 집중개최, 소규모 펜션업계(522개소) 관광진흥개발기금 지원 대상 포함, 영세 관광업자 융자기간 연장 등 관광진흥기금 융자(2.5% 선) 확대 지원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융자에도 심사기준이 까다로워 경주시의 대책과는 거리가 멀다는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이미 융자 등에 대해 은행과 논의를 해 봤지만 노골적으로 지진으로 피해로 이를 기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활설화 계획을 내 놓고 있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지원책이란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익명의 관계자는 “시가 내 놓은 대책이 대부분 협조, 검토 등의 계획으로 언제부터 시행될 수 있는지 의문이다”며 “현실적인 측면에서 업계 관계자들의 목소리가 반영되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광고
광고